청약통장 납입횟수 조회 확인하는 방법
대학입시 2년, 대학생활 4년, 취업준비 2년을 거쳐 대기업에 입사한 A군이 있습니다. 비록 대전 지사로 발령 받았지만, 어쨌든 대도시이고 빵도 좋아하다 보니, 사택도 제공되어 기쁜 마음으로 이사 준비를 시작합니다. 이사 준비가 한창이던 그 때, A군의 어머니가 A군 명의로 된 통장들과 보험증서들을 보여주며 "취직도 했겠다, 이제 네가 다 관리해라."라고 합니다. 신입사원이라 아직 월급이 작고 귀엽지만, 사택도 제공되고 회사에서 아침, 점심, 저녁 다 제공되어 돈 쓸 일이 없으니 재테크를 위해 그러겠다고 말씀드린 뒤 통장들을 살펴봅니다.
실손보험증서, 운전자보험증서, 정기예금, 정기적금, 그리고 '주택청약통장'. 서민의 로또라 불리며 선배들 중 청약통장으로 공공주택 좋은 곳을 분양받아 생활하기 편해졌다는 그 통장이 나에게도 있다는 것을 깨닫고 미소가 지어집니다. 그리고 안에는 약 300만 원 정도의 돈도 들어 있으니, 바로 쓸 수는 없다고 해도 만족스럽긴 하네요. 이사를 마치고 주택청약통장에 대해 알아보기 시작한 A군, 2년 이상 보유하고 24회 이상 납입을 했어야 1순위 자격을 받을 수 있고, 그 외 다양한 요건들로 가점을 받는다는 사실을 알게 됩니다. 하지만 직접 관리하던 게 아니다 보니, 납입금이 몇 회에 걸쳐 얼마씩 몇 년간 납입되었는지 알 수가 없습니다.
실제로 A군과 같은 사례는 자주 발생합니다. 입시 과열로 인해 정작 보험이나 청약, 부동산 계약 등 혼자 살아가는데 알아두면 편리한 지식들은 우리 청년들이 교육을 받지 못한 채 몸만 어른이 되어버리죠. 하지만 괜찮습니다. 늦더라도 알아가는 것이 중요한 법입니다. 오늘은 나도 몰랐던 청약통장이 등장했을 때, 지금까지 쌓인 납입횟수를 어떻게 조회할 수 있을지에 대해 함께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청약통장 납입횟수를 조회하는 방법은 크게 2가지가 있습니다. 바로 청약홈에서 알아보는 방법과 은행 앱을 통해서 알아보는 방법인데요. 이 두 가지 방법 모두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첫 번째는 청약홈에서 알아보는 방법입니다. 모든 은행을 조회할 수 있기 때문에 가입한 기억은 있는데 통장도 안 보이는 상황에서는 청약홈을 사용하시면 됩니다.
1. 청약홈 사이트에 들어갑니다. 공동인증서나 금융인증서, 네이버 인증서 등을 통해 로그인합니다.
2. 마이페이지의 [청약자격확인 > 청약통장-순위확인서 발급]을 클릭합니다.
3. [순위확인서 발급하기]를 클릭합니다.
4. 본인이 관심있는 청약 전형을 선택합니다. 장 모군의 경우, 사회초년생이다 보니 생애 최초 주택구입자 특별공급에 관심이 갈 수도 있겠네요. 이후 열리는 창에서 [다음]을 눌러줍니다.
5. [약관 모두 동의 및 예]를 체크하고 [다음]을 눌러줍니다.
6. 현재 진행 중인 공고 중에서 아무거나 하나 선택합니다.
7. 거주지를 선택하고 연락처를 입력합니다.
8. 10년 이상 장기복무 중인 군인 여부를 선택하고 [다음]을 눌러줍니다. 장 모군이 고등학교를 공군 항공과학고등학교를 나온 것이 아니라면 아마 장기복무는 안 했을 겁니다.
9. [발급 신청하기]를 클릭합니다. 그러면 다음 창에서 납입회차와 납입(인정)금액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가입한 은행도 알 수 있으니, 어느 은행에 가서 통장 재발급 등을 받으면 되는지도 확인 가능합니다.
두 번째는 은행 앱을 통해 알아보는 방법입니다. 적어도 어느 은행에서 가입했는지는 알아야 하기 때문에, A군과 같은 상황이라면 청약홈보다는 은행 앱을 통해 알아보는 것이 더 낫겠네요. 여기서는 신한은행 청약통장이라 하겠습니다.
1. 신한은행 SOL 뱅크 앱을 실행합니다.
2. 내 계좌 중 주택청약통장을 선택합니다.
3. [계좌관리]탭을 누릅니다.
4. 청약정보를 열어서 [청약 납입회차]를 확인합니다. 여기서 납입회차뿐만 아니라, 납입 인정 금액과 순위기산일 등도 확인 가능하니, 추가적으로 필요한 정보들을 확인해보시면 되겠습니다.
이렇게 주택청약통장 납입횟수 조회 및 확인 방법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나도 몰랐던 주택청약통장에는 보통 부모님이나 집안 어르신들의 사랑이 담겨있는 법이니, 그 의미를 기억하고 사회로 나아가는 데 필요한 소중한 자산으로 써주시면 되겠습니다~
댓글